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이슈
728x90
반응형
453

[예술] 18세기 오페라 부파의 특징과 기능 오페라 부파 - 희극적 내용의 오페라- 18c 큰 인기- 지배층의 우둔함이나 위선 등을 풍자- 18c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으로 귀족 중심 사회 비판- 음악적인 측면에서의 풍자와 조롱으로 희극석을 극대화 (기존 곡의 패러디, 음의 빠르기, 부점이나 스타카토)- 당대 현실을 풍자, 조롱함으로 부조리한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망을 표현- 현실에 대한 저항 담론 기능 오페라의 개념과 오페라 부파의 기원오페라는 노래 중심의 극으로 모든 대사를 작곡된 노래로 표현하는 종합예술이다. 오페라 중에서도 신화나 영웅의 전설에서 제재를 구한 서정적 비극을 '오페라 세리아'라고 하고, 이와 달리 현실적 제재에 희극적 내용을 가진것을 '오페라 부파'라고 한다.오페라 부파는 원래 오페라 세리아의 막간극이었다. 막각극이란 연극의.. 2018. 3. 27.
[소믈리에와 와인] 와인의 서비스온도 기본적으로 화이트 와인, 스파클링 와인, 로제와인은 차갑게 서비스를 하고, 레드 와인은 실내온도로 서비스를 한다.화이트 와인의 경우 차가울 때 와인의 사과산이 더욱 신선하고 프루티한 맛을 보여준다.레드와인의 경우 온도가 차갑지 않을때 탄닌이 상대적으로 거칠고 떫지 않고 부드럽게 느껴지며 복합적인 향이 풍성하게 발산된다.물론 보졸레 누보 와인의 경우는 예외이다.보졸레 누보 와인은 레드 와인이지만 매우 신선하고 프루티한 특성을 가진 레드와인이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화이트 와인과 같이 시원하게 서비스를 한다.다만, 와인들마다의 특징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서비스 온도 혹은 시음 온도가 달라진다.와인의 바디별, 당도별, 지역별, 품종별, 숙성정도에 따라...스의트 화이트 와인과 스파클링 와인은 5~10도라이트 화.. 2018. 3. 18.
소믈리에와 와인 보관조건 1. 보관방법기본적으로 와인병은 뉘어서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물론 코르크 마개가 아닌 스크류 캡인 경우에는 크게 상관이 없다. 뉘어서 보관하는 이유와인을 장기간 세워두게 되면 코르크 마개가 건조해져서 그 부피가 줄어들고 병목에 들어가 있는 코르크와 병목 사이로 공기가 필요 이상으로 들어가 산화되어 와인이 상하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여기에도 예외는 있다.고급 꼬냑이나 포트 와인 등과 같은 강화 와인은 코르크 마개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주류는 일반적인 와인과 달리 높은 알코올 도수를 지니고 있으므로 뉘어서 보관할 경우 코르크가 상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세워서 보관한다. 또한, 와인을 뉘어서 보관할 경우 와인의 상표가 위로 향하게 하여 보관하여야 한다.이는 상표의 오염 및 손상을 파하기 위함이기도 .. 2018. 3. 18.
[기업분석] 셀트리온 1991년 2월 설립된 동사는 단백질 의약품의 연구, 개발 및 제조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18년 2월 코스닥시장에서 코스피시장으로 이전상장하였음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대량배양기술을 기반으로 항암제 등 각종 단백질 치료제를 개발, 생산하는 것을 목적사업으로 함 램시마는 세계 최초의 단일클론 항체 바이오시밀러이자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한국식약처(MFDS),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 캐나다, 일본 후생성, 2016년엔 미국 FDA의 판매승인을 득함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CT-P10)는 2016년 11월 한국 식약처, 2017년 2월 유럽 EMA에서 판매 허가를 취득해 2017년 4월부터 유럽에서 판매를 시작했으며, 2017년 7월 미국 FDA허가 신청 완료 매출구성은 CT-P13 바이오시.. 2018. 3. 15.
[기업분석](주)셀트리온 감사보고서 제출 2018. 3. 15.
[기업분석](주)셀트리온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18. 3. 15.
소믈리에와 와인 : 포도나무 Sommelier & Wine 포도나무는 식물의 포도과 vitaceae 계통에 속한다. 포도 종류는 수만 가지가 있으나, 대다수의 와인을 생산하는 Vitis Vinifera가 가장 중요하다. 실제로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포도나무는 약 600여 종('14년 기준) 이다. 이 중에서 생식용이나 건포도용, 주스용으로 쓰이는 것을 제외하고 와인용으로 쓰이는 것은 약 200여 종 이다. 와인용으로 주로 재배되는 품종은 유럽종 포도 Vitis Vinifera와 미국종 포도인 Vitis Labrusca, 유럽종과 미국종의 교배종인 French-America Hybrid에 속한 것들이다. 대중적으로 알려진 샤르도네, 카베르네 소비뇽은 유럽종 포도품종에 속한다. 유럽종 포도품종은 당도가 높고 과피가 얇으며 과육과 잘 분리.. 2018. 3. 2.
소믈리에와 와인 : 포도나무와 토양의 상관관계 토양별 특징 1. 충적토자갈, 모래, 흙 등이 퇴적되어 만들어진 토양비옥하다 2. 석회질 토양칼슘, 마그네슘, 탄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특히 통기와 배수가 잘되고 구조가 견고하여 포도나무가 자라기에 아주 좋음. 3. 백악질 토양석회암 지질 중 하나지질이 부드럽다.흰색과 옅은 색을 띠며 알칼리성 토양.상대적으로 포도의 산도를 높여줌양분과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줌 4. 진흙 토양입자가 가장 작음.진흙은 차갑고 배수가 잘 안 되며 침수가능한 산성질자체 토양만으로는 포도농사에 부적합단, 다른 토양에 섞어서 경작하면 포도 농사에 도움이 됨. 5. 사적토풍화된 자갈이나 토양의 잔해경사면이 낮은 지역에 퇴적되는 토양 6. 화강암단단하고 미네랄이 풍부한 바위 지질열이 빨리 달아오르고 오래 지속되는 특징을 지님.산.. 2018. 3. 2.
소믈리에와 와인 : 포도나무 생육 기간과 일조량 및 강우량의 상관관계 포도나무의 생육기간 중에는 일조량과 강우량이 매우 중요하다. 북반구 기준으로,4월 ~ 6월포도나무는 개화의 준비를 마치고 개화한다. 이 기간은 열매형성 시기이다.그렇기에 이 기간에는 과도한 일조량보다 충분한 강우량이 필요하다.과육 포도에는 당분보다 신맛이 배게 되는 시기이다.7월 ~ 8월포도 껍질의 색깔이 성숙하게 되는 시기이다. (베레종)과도한 강우량보다는 충분한 일조량이 필요하다.충분한 일조량은 포도의 당분은 높여준다.이 시기에는 신맛이 줄어들고 당분이 과육 포도안에 농축되어 간다. 만약, 포도의 생육기간 동안 과도한 강우량이 있을 경우포도 껍질이 얇아지고 과즙이 많아져서 와인의 색상이 엷고 산도가 높아진다.낮은 탄닌과 낮은 알콜의 와인을 생산하게 된다. 포도의 생육기간 동안 과도한 일조량이 있을 경.. 2018. 3. 1.
소믈리에와 와인 : 포도재배 환경 떼루아 Terrior 떼루아 Terrior 같은 품종의 포도라도 다른 와인을 만들어낸다. 물론 양조방법의 차이일 수도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떼루아의 차이이다. 떼루아는 포토밭의 특징을 결정짓는 자연적 요소를 말한다.즉, 토양, 자연환경, 위치, 지형, 기후 등을 전반적으로 일컫는 용어이다. 포도 재배 환경 1. 위도- 대체적으로 남·북위 40~50˚ 사이, 평균 기온 15~30℃인 지역에서 포도를 재배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좋은 위치는 언덕이나 구릉 같이 약간 경사진 곳에 위치하여 햇빛을 많이 받는 곳이다.- 유럽지역에서는 보통 서늘한 기온으로인해 해발 50~450m 사이에 포도밭이 위치한다. 남부 유럽이나 기온이 높은 나라에선ㄴ 해발 600~1,000m 사이에 포도밭이 위치한다. 2. 기후- 최적의 기후조건 : 일조량 연간.. 2018. 3. 1.
소믈리에와 와인 분류기준 : 색, 맛,용도, 거품, 알콜 첨가,생산국가, 농도 와인의 분류 가. 와인 색에 따른 분류 1. 레드와인- 포도가 완전 숙성되었을 때 포도껍질 색이 진청색을 띠고 있는 레드와인용 품종 또는 레드와인용 포도품종과 화이트 와인용 품종을 혼합하여 만든 와인.- 와인의 색이 자줏빛에서 적벽돌색에 이르는 여러가지 색을 가지고 있는 와인.- 일반적으로 탄닌이 있으며, 화이트 와인에 비하여 산도는 떨어지며 무거운 음식들과 잘 어울림.-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최고급 와인들이 대체로 레드와인이라 생각하면 쉬움.- 화이트 와인보다 더 오래 보관 가능.- 일반적으로 Rea wine으로 불리나 프랑스에서는 Rouge(루주), 이탈리아에서는 Rosso(로 ㅆ-소), 스페인에서는 Tinto(띤또), 독일에서는 Rot(롯)이라 불림. 2. 화이트 와인- 포도가 완전 숙성 되었을 .. 2018. 3. 1.
소믈리에와 와인의 역사 *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파트* 누가 와인을 발명했는지 정확히 모름.우연한 발견일 거라 추측 중.고고학적 유물이나 벽화에서 보이는 것들로 미루어보아 인류가 마신 최초의 술 = 와인 bc 6,000 과일 압착시에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유물 발견bc 4,000 와인을 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 발견와인의 역사는 bs 4,000년경부터 시작. 포도나무의 원산지 유래는 카스피해와 흑해 사이의 소아시아 지방. 와인에 대한 기원은 성경과 고고학적 증거에서 찾아볼수 있다.1. 성경노아가 대홍수가 끝난 뒤 정착했다는 아라라트 산(Mount Ararat) 근처는 포도나무 원산지로 알려진 현재의 카스피해와 흑해 사이의 소아시아 지방.- 성경 구절 창세기 9장 20~21절모세, 이사야, 예수 그리고 12제자들에 이르기까지.. 2018. 3. 1.
소믈리에와 와인 와인의 정의 와인은 영어로 wine, 프랑스어로 vin(뱅), 이탈리아어로 vino(비노), 독일어로 vine(바인)이라고 한다.잘 익은 포도를 사용하여 만들며, 포도에서 나온 당분에 효모를 첨가하여 발효시킨다.제조과정에서 물은 전혀 사용하지 않음을 유의! 와인은 알콜 함량이 7~13% 정도다.포도에서 유기산과 무기질 등이 파괴되지 않은 채로 간직된다.기본 원료인 포도는 기온, 강수량, 토질, 일조량 등의 포도나무가 자라는 환경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이때의 환경적 요인을 지칭하는 '떼루아'라는 용어를 사용!와인은 자연요소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그래서 나라마다, 지방마다 와인의 맛과 향이 다르다. 2018. 3. 1.
소믈리에 와인 용어 사전 (A) ABBOCCATO 아보카토이탈리아어로 잔당을 소량 함유라고 있는, 가볍게 스위트한 와인을 말한다.주로 세미 스위트~미디엄 드라이 와인 맛 범위를 설명할 때 사용한다. Abfullung~에 의하여 병입되었다. abgang 압강와인을 삼킨 후, 입안과 목, 배에서 느끼는 종합적인 느낌. acetic acid휘발성 산으로 와인의 신맛에 영향을 주는 것 중 하나이다.소량의 아센트산은 미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향과 맛을 두드러지게 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과하면 식초맛을 만들어 내므로 주의해야한다.아세트산을 박테리아에 무방비 상태로 방치하면 와인에서 식초로 변한다. acid 혹은 acidity신맛.전체적인 신맛이 높을 때, 입안에서 느끼는 시큰한 맛.와인의 전체적인 산 함유량을 레이블에 표현할 때 사용한다.이때 ac.. 2018. 2. 28.
소믈리에 와인 상식 O,X 10문제 1. 일조량이 적으면 당도와 산도가 떨어지고 반대로 일조량이 높으면 당도와 산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강우량이 많으면 포도의 산도와 당도는 모두 낮아진다. ( )2. 레드와인과 화이트 와인은 모두 1차 발효(알코올 발효)와 2차 발효(젖산 발효)를 반드시 해야한다. ( )3. 고르곤졸라나 스틸턴 치즈와 어울리는 와인은 소테른과 포트 와인이다. ( )4. 페놀화합물은 포도 껍질과 씨에 많이 들어있다. ( )5. 독일에서 생산되는 가장 당도가 높은 Q.M.P 와인은 베렌아우스레제이다. ( ) 답1. X2. X3. O4. O5. X 6. 샴페인 병에 '블랑 드 블랑'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것은 샤르도네 품종으로 만든 것이다. ( )7. 독일 화이트 와인 품종인 리슬링과 실바너의 교배품종은 트로겐이다. ( )8. .. 2018. 2. 28.